이번 글에서는 우분투 리눅스가 설치된 서버 혹은 PC 에, 가상화 프로그램을 이용해 여러 개의 리눅스 OS를 설치해 보겠습니다.
사실 개인 사용자 중에서 이렇게 구성해 놓고 쓸 필요가 있으신 분은 거의 없겠지만, 그래도 필요하신 분이 있을 지 몰라 공유해 봅니다.
먼저, 우분투에는 KVM 이라는 훌륭한 서버 가상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. 웬만한 사양의 서버나 PC를 가지고 계시다면 KVM을 사용하실 것을 권장합니다. ( 홈페이지 : https://help.ubuntu.com/community/KVM )
하지만 KVM은 CPU가 가상화 기술을 지원해야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, 저처럼 저사양의 PC로 가상화 구축이 필요한 경우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.
CPU의 종류와 상관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가상화 프로그램은, 의외로 윈도우 환경에서 많이 사용하는 오라클의 VirtualBox 입니다.
아래에서, 서버 콘솔 환경과 윈도우 원격 데스크탑을 이용해 우분투 위에 우분투를 설치해 보겠습니다.
호스트 환경 (VirtualBox가 설치되는) 은 Ubuntu server edition이 설치되어 있습니다. (GUI가 없고 command line 으로 작업)
(본 포스팅의 글은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.)
http://www.howopensource.com/2011/06/how-to-use-virtualbox-in-terminal-commandline/
https://www.howtoforge.com/vboxheadless-running-virtual-machines-with-virtualbox-4.0-on-a-headless-ubuntu-10.10-server
- VirtualBox 다운로드
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습니다. 이때 주의할 점은, 확장팩도 같이 다운로드 받아야 한다는 점입니다.
https://www.virtualbox.org/wiki/Downloads
(확장팩이 설치되지 않으면 아무 이유 없이 원격 데스크탑이 작동하지 않더군요..) - 우분투 서버에 다운로드 된 파일을 올려 놓고, 설치합니다.
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은 파일은 .deb 확장자를 가지고 있습니다.
구글 검색을 해 보시면 deb 파일을 설치하는 방법은 잘 나와 있습니다.
혹은, apt-get 명령어로 패키지 설치도 가능합니다. - 가상 머신을 세팅합니다.
아래 순서대로 하시면 되는데, 설정값은 잘 확인하시고 본인의 환경에 맞도록 수정하셔야 합니다.
각 항목의 설명은 주석으로 대신합니다. - 확장팩을 설치 합니다. (가상 머신 세팅 전에 해도 됨)
sudo VBoxManage extpack install <다운받은 확장팩 이름> - 가상 머신을 시작합니다.
LI <> - 윈도우 원격 데스크탑으로 가상 머신에 접속합니다.
윈도우키+R 을 누르고 mstsc 를 입력 한 후 엔터키를 치고, 나오는 화면에 서버 아이피 주소를 넣으면 됩니다.
여기까지 하면, 가상 머신 상의 우분투 OS 설치 화면이 보입니다.
성공이네요 ^^